![article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HIdYo%2FbtskhMhFi8H%2FkvVDvkSJD3kA5emljyNkQ0%2Fimg.png)
평소 젠킨스를 잘 사용하고 있었지만, 눈에 띄게 불편한 점이 있었다. 바로 빌드 시간이 미국시간(UTC)으로 설정되어 시간 차이가 꽤 나는 것이었다. 계속 구글에 서치를 해보았는데, 대부분 실행할 때 타임존을 서울로 설정해주었다. 하지만 나는 젠킨스 컨테이너를 이미 실행시키고 있다. 만약 이걸 삭제한다면 나의 수고가 물거품이 되어버릴 것이다. 그래서 포기하지 않고 찾은 결과를 여기에 정리한다.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면 좋겠다. 젠킨스 컨테이너 접속 우선 실행중인 컨테이너의 타임존을 변경하려면, 젠킨스 컨테이너에 직접 접속해야 한다. 처음 시도한 명령어 처음에 컨테이너로 접속할 때 아래의 명령어로 접속했었다. 하지만 이내 명령어를 바꾸게 되었는데, 배경은 아래에서 설명하겠다. sudo docker ex..
![article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hfGCz%2FbtshzAkDO97%2FrG7LOKTvZrm6KPJEr0Sydk%2Fimg.png)
이번에 프론트엔드와 협업을 하는 미션을 했다. 백엔드와 프론트엔드 모두 이전에 한 번씩 했던 미션 + @의 기능을 만들어 배포까지 하는 미션이다. 백엔드가 할 태스크는 CORS 해결, SSL 배포, + @ 기능 정도인 것 같았다. 백엔드보다 프론트엔드가 할 일이 비교적 많아 보였다. 기능에 따른 UI도 만들고 기존에 있던 것도 바꾸고 해야 할 테니 말이다. 특히 상태관리가 힘들다고 들었다. 그래서 백엔드 페어인 에단한테 간단한 CI/CD 파이프라인을 구축해보는게 어떻겠느냐는 제안을 했다. 그리고 너무 고맙게도 흔쾌히 받아주었다. 파이프라인을 구축한게 무언가를 더 해보자는 취지도 있지만, 무엇보다 AWS 인스턴스 자체가 한정된 네트워크로만 들어갈 수 있어서 외부에서 개발할 때는 어떠한 기능을 추가해도 인스..
![article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BUJo%2FbtrSUbUJpV6%2FQxqgBpvSiWmmcZRwejs8S1%2Fimg.png)
준비물 : ec2(ubuntu), jdk 11, docker, jenkins, github 들어만 보고 실제로 사용은 못해본 녀석들.. 오늘은 진짜 해봅시다!! 작고 소중한 EC2 프리티어 프리티어 인스턴스의 메모리는 너무나 작고 소중합니다. 따라서 스왑메모리를 적용해서 조금이나마 숨통을 트이게 해줄텐데요. 만약 본인이 프리티어를 사용하는데 스왑 메모리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젠킨스 빌드할 때 서버가 죽습니다. $ sudo dd if=/dev/zero of=/swapfile bs=128M count=16 $ sudo chmod 600 /swapfile $ sudo mkswap /swapfile $ sudo swapon /swapfile $ sudo swapon -s 파일 열어주고 $ sudo vi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