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p 학교에서 만들고 운영하다가 온 서비스(교내 서비스)를 방치했었다. 이번년도에는 신입생들도 들어오고 그에 의해 사용자 수도 많아졌다. 그래서인지 예상하지 못한 문제들이 많이 생겨서 트러블 슈팅하는데 많은 시간을 쏟았다. 그런데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나는 이제 그 학교 학생도 아닌데 왜 내가 유지 보수 해야하지?" 이에 대해 깊이 있는 고민을 해봤다. 현재 의 나에게만 적용되는게 아니라 성공할 사람이 가져야 하는 일종의 "마인드 셋"인 것 같기 때문이었다. 이 물음표의 결과는 아래 몇가지로 추려볼 수 있을 것 같다. 내가 만든 서비스여서 실제 사용자가 몇 명도 아니고 100명 가까이 되는 수여서 포트폴리오에 멈춰있는 서비스가 아니라 실제 운영되는 서비스를 쓰고 싶어서 지속적인 트러블 슈팅으로..

이번주부터 주간 회고록을 작성하려고 한다. 주간 회고록을 써야겠다고 느낀 이유가 뭘까? 우선 일주일 동안 내가 뭘 했는지를 검증하는 시간이며, 아쉽거나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 메타인지를 하기 위해서다. 메타인지를 해야만 다음주의 내가 일주일을 더 잘 보낼 것 같다. 주간 회고록을 꾸준히 쓰는 게 쉽지는 않겠지만, 회고를 쓰는 이유와 필요성이 계속 느껴지기에 더 이상 미루지 않고 작성한다. 무엇을 시작해야 하는가? 내가 무엇을 시작해야 할까? 지금 나는 우아한테크코스(이하 우테코)의 크루다. 하루종일 코드를 보며 다른 사람들과 이야기, 페어 프로그래밍 또는 전공 책을 읽는다. 이렇게 평일과 일요일을 보내고 토요일은 무조건 하루를 쉰다. 쉰다는 건 사람마다 다르다. 내가 좋아하는 것을 하는 게 쉬는 것일 수도..

UnsupportedOperationException가 뭐임 😅 기능 구현을 완료하고 ApplicationTest를 깔끔하게 통과하기를 바랬다. 어림도 없지. Exception in thread "main" java.lang.UnsupportedOperationException 바로 UnsupportedOperationException. 처음에는 이게 뭔가 싶었다. 왜냐면 테스트코드가 아닌 내가 직접 실행시킬 때는 잘 동작하던 애플리케이션이 테스트케이스만 실패하니 말이다. 내가 테스트케이스를 잘못 만진 줄 알고 깃허브에서 그대로 복붙해와서 붙여봐도 같은 예외가 터졌다. 찾아보니 저 에러는 List 타입에 데이터를 저장, 삭제할 때 ArrayList로 초기화 해주어야 할 수 있는데, new로 생성하지 않은..